한국사회 장기실업문제와 자활정책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2 20:22
본문
Download : 한국사회 장기실업문제와 자활정책에 관한 고찰.hwp
최근 대학생 3명 가운데 1명이 휴학생이라는 언론의 보도는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아
다른 한편으로는 50대 이상 비숙련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시장 재진입의 한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To be continued )
up한국사회장기실업문제와자활정책에관한고찰
순서
Download : 한국사회 장기실업문제와 자활정책에 관한 고찰.hwp( 48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한국사회 장기실업문제와 자활정책에 관한 고찰
최근 발표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99년 2월 8.6%(176만 명)를 기점으로 실업률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99년 10월의 실업률은 예상보다 훨씬 축소된 4.6%(102만 명)으로 감소하였다고 합니다.
다. 예상보다 실업률이 빠르게 감소한 것은 분명합니다만 우리나라 실업통계의 기준문제나 실업률에 포함되지 않은 공공근로 참여자(40만명)와 상당수의 실망 실업자를 고려한다면 아직도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8%대에 이를 것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같은 시기 실업극복부천시민(市民)운동본부의 실업관련단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장기실업자가 6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50대 이상의 비숙련 비정규직 노동자, 최근 실업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고학력 신규실업자들, 그리고 여성실업의 문제이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장기실업문제와 자활정책에 대해 논의하고자 작성한 글입니다. 특별히 98년 1월부터 신규 실업자들의 장기실업문제가 심각화되고 있다아 이는 경기회복에도 불구하고 신규노동시장이 확대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예상보다 실업률이 빠르게 감소한 것은 분명합니다만 우리나라 실업통계의 기준문제나 실업률에 포함되지 않은 공공근로 참여자(40만명)와 상당수의 실망 실업자를 고려한다면 아직도 우리나라의 실업률은 8%대에 이를 것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전북, 경남, 원주 등의 민간조사의 통계에서 비슷한 현상이 공통적으로 확인되고 있다아 이는 물론 실업관련단체를 이용하는 주민들의 特性을 감안하더라도 장기실업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는 분명한 지표들이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장기실업문제와 자활정책에 대해 논의하고자 작성한 글입니다.






1. 스타트하는 글
2. 외환위기 2년 후 한국사회의 장기실업과 빈곤문제
3. 한국의 장기실업과 政府 자활정책
4. 제 3섹터란 무엇인가
- 프랑스의 事例(사례) / 앙비
- 일본의 事例(사례) / 고령자협동조합의 홈 헬퍼(home helper)
5. 제 3섹터가 제기되는 배경과 present condition
6. 한국사회 지역 민간 실업대책 활동에서 제 3섹터가 제기되는 배경
7. 한국사회 제 3섹터 운동의 경과와 평가
8. 제 3섹터 활성화를 위한 최근의 노력들
9. 제 3섹터 활성화를 위한 environment조성과 민.관의 협력方案
10. 제 3섹터와 민간의 실천을 위한 제언
11. 맺는 글
# 참고reference(자료)
2. 외환위기 2년 후 한국사회의 장기실업과 빈곤문제
최근 경기회복과 실업률의 감소경향에도 불구하고 실업추세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몇 가지 현상들이 있는데 이는 향후 한국사회에서 확대. 심화되는 빈곤재생산 메카니즘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판단된다 첫째는 특정계층에서의 장기실업이 구조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는 최근 실업문제와 저임금문제가 교묘하게 교차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실업률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다른 한편에서 악화되는 고용상태와 저임금 문제로 축약할 수 있다아
99년 10월 서울북부실업자사업단 자체조사에 의하면 1년 이상 장기실업자가 31.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up한국사회장기실업문제와자활정책에관한고찰 , 한국사회 장기실업문제와 자활정책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최근 발표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99년 2월 8.6%(176만 명)를 기점으로 실업률이 감소하기 처음 하여 99년 10월의 실업률은 예상보다 훨씬 축소된 4.6%(102만 명)으로 감소하였다고 합니다. 더우기 구직을 포기한 실망실업자가 늘고 있다는 조사결과를 감안한다면 실업률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왜 한국사회에서 빈곤의 확대되고 있는가를 짐작할 수 있다아
최근 나타나고 있는 장기실업 추세에서 주목할 점은 먼저 靑少年(청소년) 층이나 고령자들의 장기실업문제 보다는 25세-59세의 核心(핵심)연령층의 장기실업 문제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