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로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0:12
본문
Download : 엔트로피(2).hwp
제레미 리프킨이 고도경제성장, 물질문명 만능의 시대에 접어든 70년대의 미국사회를 살펴보니 이건 완전히 진시황의 아방궁이었다. 물건을 만들어 광고를 하고, 열심히 소비할 것을 부추겨왔다. 국가가 핵무기 등 무기 제조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산천이 파헤쳐지고 있는 것이, 국민 각자가 흥청망청 먹고 즐기고 데 밤새는 줄 모르고 있는 것이 잘못된 것임을 그는 엔트로피 관점에서 경고한다. 국가발전과 경제개발이란 미명하에 사용 가능한 에너지와 물질이 계속 사용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전체 엔트로피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지 않은가. 이 지구가 사용 불가능한 에너지의 더미, 거대한 쓰레기 하치장이 되고 있음을 깨닫고 내놓은 책이 바로 `엔트로피`이다.
책은 눈물겨운 전언으로 끝난다.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인간은 풀을 베고 산을 깎아 수많은 공장을 세워왔다. `우리에게 남아 있는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보존하고, 생성과정을 지배하는 자연의 리듬을 최대한 존중함으로써, 앞서 간 모든 생명과 뒤이어 올 모든 생명에 대한 우리의 궁극적인 사랑을 표현할 수 있따 우리는 세계를 돌보는 하인이어야만 한다.
순서
엔트로피 , 엔트로피경영경제레포트 , 엔트로피
Download : 엔트로피(2).hwp( 86 )
REPORT
김승민
(엔트로피 - 제레미 리프킨)
질서가 있는 상태에서 무질서한 상태로 이동해 가는 엔트로피 법칙을 벗어날 수 없으므로 우리는 자본주의사회의 미덕인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주제의 `엔트로피`는 엄청난 양의 통계자료(data)와 출처들을 통해 완성되었다. 사서 써야만 공장이 가동되고, 이윤이 창출되고, 자본이 축적되고, GNP가 늘고, 나라가 부강해진다.` 우리의 후손을 위하여......
70년대는 서구에서 물질적 발전과 성장신화에 대한 의문이 본격적으로 제기된 시기였다.
80년에 나온 책 `엔트로피`도 이와 같은 의문의 연장선상에 있따 펜실베니아대 워튼 스쿨과 외교전문인 터프스대 플레처스쿨 …(투비컨티뉴드 )
엔트로피
레포트/경영경제
엔트로피
설명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엔트로피,경영경제,레포트
다. 지식인들의 모임인 `로마클럽`에서는 `성장의 한계`를 주장했고 環境단체인 `그린피스`는 공장굴뚝과 폐수구들을 틀어막기 처음 했다.